미 육군 블랙호크 헬기-아메리칸 항공기 충돌… DC 공중 충돌 원인은? > OK 뉴스

오하이오 한인들의 소통과 정보
chevron_right
chevron_left

OK News OK 뉴스

사회 미 육군 블랙호크 헬기-아메리칸 항공기 충돌… DC 공중 충돌 원인은?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News
댓글 0건 조회 97회 작성일 25-02-06 20:16

본문

c166788f0d5259ba114bf4bcbdd4fdfc_1738890934_6264.jpeg

● 사고 개요

 

1월 29일 워싱턴 DC(Washington, D.C.) 인근 **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(Reagan National Airport, DCA)**에서 **미 육군 블랙호크 헬기(U.S. Army Black Hawk Helicopter)**와 아메리칸 항공(American Airlines) 여객기가 공중에서 충돌하여 67명 사망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.

 

● 헬기, 안전 추적 시스템(ADS-B) 꺼져 있었다

 

미 상원 의원 **테드 크루즈(Ted Cruz)**는 충돌 당시 블랙호크 헬기의 자동 종속 감시 방송(ADS-B,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-Broadcast) 시스템이 꺼져 있었다고 밝혔다.

 

ADS-B는 항공기의 GPS 위치, 고도, 속도 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, 미국 연방항공청(FAA)이 선호하는 감시 시스템이다.

크루즈 의원은 “이 비행은 훈련 미션이었으며, 국가 안보상 ADS-B를 끌 이유가 없었다”고 주장했다.

 

● 블랙호크, 비행 허용 고도 초과 가능성

 

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(NTSB)에 따르면 사고 당시 블랙호크 헬기는 허용된 200피트(약 61m) 고도를 초과했을 가능성이 있다.

 

공항 관제탑 데이터는 헬기가 **300피트(약 91m)**에서 비행 중이었다고 나타내지만, 이는 100피트 단위로 반올림된 값이기 때문에 정확한 고도는 추후 조사해야 한다.

사고 당시 헬기가 야간 훈련 중 **야간 투시경(Night Vision Goggles, NVG)**을 착용하고 있었는지도 조사의 핵심이다.

 

c166788f0d5259ba114bf4bcbdd4fdfc_1738890959_2196.jpeg

● 사고 현장 구조 및 수습 작업

 

미 육군 공병단(U.S. Army Corps of Engineers)은 **포토맥 강(Potomac River)**에서 블랙호크 잔해를 수습하고 있다.

아메리칸 항공기의 날개, 동체, 조종석 등 대부분은 이미 회수되었으며, 헬기의 정확한 고도를 확인하기 위해 블랙호크의 회수가 필수적이다.

 

● 사고 이후 공항 운영 및 FAA 대응

 

1. DCA 항공편 운항 제한

FAA는 사고 수습과 악천후로 인해 레이건 내셔널 공항 도착 항공편 수를 시간당 28편에서 26편으로 줄였다.

항공편 감소로 인해 공항 내 지연 시간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.

2. 교통부, 관제 시스템 개선 계획 발표

**미국 교통부 장관 숀 더피(Sean Duffy)**는 공항 관제탑의 인력 배치 및 워싱턴 DC 공역의 혼잡 문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.

FAA는 항공 교통 관제 인력을 3,000명 더 충원할 계획이며, 야간 군사 훈련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.

 

● 사고 조사 진행 상황

 

NTSB는 5명의 관제탑 근무자를 면담하고, 블랙박스 데이터를 분석하며 사고 전후 항공기 통신 및 비행 데이터를 정리 중이다.

NTSB는 이번 충돌 사고에 대한 예비 보고서를 30일 이내 발표할 예정이며, 최종 사고 원인 보고서는 1~2년 후 공개될 전망이다.

 

● 워싱턴 DC 인근 공역, 항공 충돌 위험 높아

 

1987년 이후 DCA 공항에서 30건의 항공기 근접 충돌(NMAC, Near Mid-Air Collision)이 발생했으며, 이 중 7건은 헬기 관련, 10건은 군용기 관련 사고였다.

전문가들은 수치는 상대적으로 높지만 미국 내 공중 충돌 사고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.
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
COPYRIGHT(C) Danzi. ALL RIGHTS RESERVED